이창용 총재의 시끄러운 한국은행, 채권시장을 흔들다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시대: 이창용 총재의 ‘시끄러운’ 한국은행이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

이창용 총재, ‘시끄러운 한국은행’을 외치다

2022년 4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취임하면서 ‘시끄러운 한국은행’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습니다. 마치 ‘한은사(韓銀寺)’라 불릴 정도로 고요했던 한국은행의 이미지를 벗고, 보다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금융 시장과의 거리를 좁히겠다는 의지의 표명이었죠. 전통적으로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이라는 본연의 임무에 묵묵히 매진해왔습니다. 내부적으로는 직원 90%가 내향형일 것이라는 농담이 나올 정도로 조용하고 신중한 조직 문화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데이터가 말하는 ‘시끄러운’ 한국은행의 영향력

하지만 최근 한국은행의 행보는 과거와 사뭇 다릅니다. 이를 뒷받침하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의 유각준 교수와 성균관대학교의 조두연 교수가 진행한 ‘한국은행 총재의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논문에 따르면, 이창용 총재와 이전 총재들의 재임 기간 중 기준금리 발표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채권 시장의 변동성이 평상시 대비 무려 7~15배 이상 확대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습니다. 이는 김중수 전 총재 재임 시기의 4.2배 변동성 확대와 비교했을 때 확연히 늘어난 수치입니다. 이는 곧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 특히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이 채권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졌음을 시사합니다.

통화정책 스탠스, 채권시장을 흔들다

이 논문은 더 나아가 기자간담회에서의 통화정책 관련 발언 톤, 즉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이냐 비둘기파적(통화 완화 선호)이냐에 따라 채권시장의 반응이 달라진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 하나하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으며, 총재의 어조 변화가 채권 금리의 등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던 중앙은행이 이제는 총재의 ‘입’을 통해 시장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그 소통의 내용에 따라 시장이 크게 움직이는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이는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변화가 단순히 내부적인 문화 변화를 넘어, 실제 금융 시장에 강력한 파급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새로운 시대, 더욱 중요해진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

이러한 변화는 한국은행이 금융 시장의 안정과 발전에 있어 더욱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시끄러운 한국은행’이라는 표현은 더 이상 단순히 ‘소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의 투명하고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불확실성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투자자들은 물론, 기업과 일반 시민들도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에 더욱 귀 기울이고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앞으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커뮤니케이션이 금융 시장에 어떤 더 큰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해야 할 시점입니다. 이는 ‘시장팀의 마켓워치’가 보여주듯, 한국 경제를 움직이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잘못된 내용은 연락주시면 수정.삭제하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