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부동산 양극화, 주택연금으로 본 현주소: 예상보다 더 큰 격차
주택연금, ‘서울 169만원 vs 지방 87만원’… 현실적인 노후 대비 현황
최근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은퇴 후 안정적인 삶을 위한 주택연금 지급액에서도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는 단순히 집값의 차이를 넘어, 노후 생활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주택연금, 무엇이 이런 격차를 만들었나?
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의 주택 소유자가 자신의 집을 담보로 평생 동안 매달 생활자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가장 핵심적인 특징은 담보가 되는 주택의 평가액에 따라 연금 수령액이 결정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주택 가격의 차이가 곧바로 연금 지급액의 차이로 이어지는 구조입니다.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주택연금 가입자의 월평균 지급액은 서울이 169만원인 반면, 서울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87만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지방 가입자가 서울 가입자에 비해 절반 수준의 금액만을 받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수도권 내에서도 경기도는 134만원, 인천은 95만원으로 지역별 편차가 존재했으며, 전국적으로 가장 낮은 지급액을 기록한 전남은 월평균 58만 9천원에 불과했습니다.
서울 안에서도 나타나는 ‘서초 vs 기타’의 현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지역별 격차가 서울 내부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서울 내에서만 보더라도, 월평균 지급액이 가장 높은 곳은 서초구(227만원)였으며, 용산구(220만원), 강남구(200만원 이상 예상) 등 전통적인 고가 주택 밀집 지역에서 높은 지급액을 보였습니다. 이는 같은 서울이라는 지역 안에서도 어떤 지역에 거주하는지에 따라 노후 생활의 경제적 기반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양극화 시대, 주택연금 활용 전략은?
주택연금 제도는 은퇴 후에도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훌륭한 수단임에는 분명합니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주택 가격이라는 ‘자산의 가치’가 연금 수령액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는 주택연금 수령액의 양극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단순히 제도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이 노후 준비 과정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입니다. 따라서 주택연금 가입을 고려하거나 이미 가입하신 분이라면,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주택 가치와 향후 부동산 시장 전망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현실적인 노후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연금 상품이나 은퇴 후 소득 창출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지혜가 필요할 것입니다.